[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 TIL Day 44 - Active Directory
·
TIL
1. [실습] 사전 준비1) Windows Server 2016 설치 및 설정 Windows 업데이트 비활성화 서버 관리자 > Windows 업데이트 비활성화gpedit.msc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Windows 업데이트"자동 업데이트 구성" → "사용"옵션: 2 - 다운로드 및 설치할 때 알림C:\Windows\System32\Tasks\Microsoft\Windows\UpdateOrchestratorReboot 파일 속성 → 보안 탭에서 모든 사용자/그룹에 대해 권한을 "거부"로 설정 2) Windows 11 설치 및 설정Windows 업데이트 비활성화 작업 관리자 > 서비스 탭 → "서비스 열기"Windows Update 서비스 → 속성 > 시작 유형: ..
[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 TIL Day 42 - 에스넷시스템 현장견학
·
TIL
온라인 수업 과정 중 유일한 오프라인 특강으로 에스넷시스템 회사의 현장견학을 갔다 왔다.소프티어 이후로 오랜만에 직장인 출근 시간에 지하철을 탔다. 어제 비가 많이 와서 이동하는 게 걱정이 됐지만 오늘은 다행히 아침에만 조금 오고 이후로는 날씨가 좋아서 다행이었다. 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를 시작한지 두달만에 같은 수업 동기를 실제로 보게 되어 기대도 많이 되었다. 아쉽게 나 포함 6명만 참석했지만 그래도 추후에 프로젝트 기간에 팀원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 얼굴을 익혀두었다. 첫 타임에는 간단한 회사 소개를 들었다. 엔비디아, 델, 시스코 모두와 파트너십을 맺은 유일한 국내 기업이라는 소개는 네트워크 쪽 기업을 잘 모르는 나에게도 감탄이 나오는 타이틀이었다. 삼성 뿐만 아니라 대학교나 금융 기관 등 다양..
[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 TIL Day 41 - vSphere 고가용성 및 복구 기술
·
TIL
1. vSphere HAvSphere HA는 가상머신의 고가용성 보장을 위한 VMware의 클러스터 기능으로 ESXi 호스트 장애 발생 시, 해당 호스트의 가상 머신을 자동으로 다른 호스트에서 재시작할 수 있게 해 운영 중단 없이 빠르게 복구가 가능하게 해준다. 계획된 다운타임뿐 아니라 예기치 못한 장애 상황도 대응할 수 있다. 1) 주요 기술 요소가상 머신 마이그레이션I/O 어댑터 경로 다중화무정지 장애 복구VM 로드 밸런싱재해 복구 툴 2) vCenter Server 주요 구성 요소vCenter Server 데이터베이스 인증 ID 소스이 구성 요소들에 대해 고가용성을 제공하면 vCenter Server 자체의 HA도 가능 3) 아키텍처 FDM(Fault Domain Manager) HA 클러스터의..
[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 TIL Day 40 - 리소스 관리 및 모니터링
·
TIL
1. 리소스 관리 및 모니터링1) 가상 메모리 1-1) 메모리 계층게스트 운영 체제 가상 메모리는 운영 체제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에 제공됨게스트 운영 체제의 물리적 메모리는 VMkernel에 의해 가상 머신에 제공됨VMkernel에서 관리하는 호스트의 시스템 메모리는 가상 머신이 사용할 연속적인 주소 지정 가능 메모리 공간을 제공함'' 1-2) 메모리 오버커밋각 가상 머신에서 사용 중인 메모리의 총 크기는 호스트의 물리적 메모리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메모리가 오버커밋된다.ESXi 호스트는 메모리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유휴 가상 머신에서 필요한 가상 머신으로 메모리를 전송한다. 오버헤드된 데이터는 스왑 파일에 저장되지만 성능상으로 권장되는 방법은 아니다. 1-3) 메모리 최적화 기법투명 페이지 공유(Tra..
[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 TIL Day 39 - 템플릿, 마이그레이션, 스냅샷 실습
·
TIL
1. [실습] 템플릿 이용하기1. 기존 VM1-1을 템플릿으로 만들기2. VM 사용자 지정 규격 생성하기 3. 템플릿으로 새 VM 배포4. 컨텐츠 라이브러리 생성5. 가상 머신 템플릿을 컨텐츠 라이브러리의 템플릿으로 복제6. 컨텐츠 라이브러리의 가상 머신 템플릿으로 가상 머신 배포 7. 전원이 켜진 가상 머신 복제 2. [실습] 가상 머신 마이그레이션1. 로컬 스토리지에서 공유 스토리지로의 가상 머신 파일 마이그레이션 2. vSphere vMotion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가상 스위치 및 VMkernel 포트 그룹 생성 3. 공유 데이터스토어에서 가상 머신의 vSphere vMotion 마이그레이션 수행 4. 계산 리소스와 스토리지 동시에 변경 3. [실습] 스냅샷 스냅샷을 삭제한다는 것은 더..
[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 TIL Day 38 - 가상머신 스토리지 실습, 가상머신 관리
·
TIL
1. iSCSI이전에 storage라는 가상머신에 만들어둔 iSCSI를 살펴보자. iSCSI는 Target과 Initiator로 구성됨Target : 스토리지 제공자Initiator : 스토리지 요청자 (ESXi에서 소프트웨어 어댑터로 설정)일반적으로 Target은 iqn.날짜.도메인:가상머신 형태로 식별 2. [실습] iSCSI 스토리지 연결1) 표준 스위치에 VMkernel 포트 그룹 추가 VMkernel은 vMotion, 스토리지, FT 트래픽 등 관리 트래픽 처리VMkernel 어댑터를 통해 iSCSI 트래픽용 네트워크 연결 제공 2) iSCSI 소프트웨어 어댑터 구성 ISCSI를 2개 추가데이터스토어 삭제 2. [실습] NFS 데이터스토어 추가 3. 가상머신 관리 1) 템플릿 & 클론템플릿..
[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 TIL Day 37 - VMware 스토리지, 데이터스토어
·
TIL
1. vCenter와 vSphere의 기본 개념1) vCenter (사이트 개념)vCenter는 여러 ESXi 호스트와 리소스를 통합 관리하는 중앙 관리 서버여기서 사이트란, 물리적 경계가 나뉘어 있고 관리 주체가 다른 리소스 그룹을 의미데이터 센터 단위를 먼저 만들어야 그 안에 호스트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음 2) vSphere (단독 호스트)vSphere는 단일 ESXi 호스트를 통해 가상화를 제공별도의 중앙 관리 도구 없이 개별 호스트에서 가상 머신을 직접 운영할 수 있음 데이터 센터를 만들어야 호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2. vSphere 표준 스위치1) 가상 스위치 연결 유형가상 머신 포트 그룹VM간 트래픽을 전송하는 역할사용자 애플리케이션 트래픽이 흐르는 경로VMkernel 포트ESXi ..
[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 TIL Day 36 - VMware Tools, vCenter Server
·
TIL
1. 가상머신 개념1) 가상머신을 구성하는 파일 가상머신은 컴퓨터에서 파일이지만, 격리된 시스템이다. 파일 종류설명.vmx (디스크 설명자 파일)VM 설정 정보 (vCPU, 메모리, 네트워크 등).vmdk (디스크 데이터 파일)가상 하드디스크 파일.nvram (BIOS 파일)가상 머신의 BIOS 정보 저장.vmss (일시 중단 상태 파일)가상머신을 일시 중지했을 때 상태 저장.vmsd (스냅샷 데이터 파일)스냅샷 정보 저장.vmsn (스냅샷 상태 파일)특정 시점의 VM 상태 저장.vmem (스냅샷 활성 메모리 파일)스냅샷 시 메모리 상태 저장.log (로그 파일)가상머신 동작 기록.vswp (스왑 파일)메모리 부족 시 디스크에 임시 저장.vmtemplate템플릿으로 만든 VM 정의.rdm (원시 디바이스..
[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 TIL Day 35 - SDDC, ESXi, vCenter Server
·
TIL
1. SDDC (Software-Defined Data Center)SDDC는 데이터센터의 핵심 구성 요소인 컴퓨팅,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모두 가상화하고 소프트웨어로 제어하는 구조를 말한다.물리적 자원에 의존하지 않고도 유연하고 자동화된 데이터센터 운영이 가능하게 해준다. 서버 가상화: VMware vSphere, ESXi 등네트워크 가상화 (SDN): VMware NSX 등스토리지 가상화 (SDS): VMware vSAN 등데스크톱 가상화 (VDI): VMware Horizon 등 VMware의 vSphere는 이러한 SDDC 구현의 핵심 기반이 되는 플랫폼이다. 2. 추상화 : 가상 머신VMware 환경에서 가상 머신은 물리적 서버 자원을 추상화하여 독립적인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
[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 TIL Day 34 - Kubernetes DaemonSet, StatefulSet, Service, Job, CronJob, Volume
·
TIL
1. DaemonSet지속적으로 돌아야 하는 어떤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워크로드 리소스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하고, PV / PVC를 붙여서 데이터를 저장해야 할 때 사용노드가 추가되거나 제거되더라도 자동으로 해당 노드에 파드가 배포되거나 삭제됨모든 서버에서 동일하게 작업되어야 하는 기준을 가지고 있다면 데몬셋이 가장 적당함일반적으로 모든 노드에 하나씩 실행해 spec.replicas 필드가 필요하지 않음 1) DaemonSet vs Static Pod비교 항목 DaemonSet Static Pod 생성 방식YAML로 생성, kubectl로 관리 가능노드의 로컬 파일(/etc/kubernetes/manifests/)에 직접 배치관리 주체Kubernetes API ServerKubel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