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 TIL Day 16 - LVM
·
TIL
1. LVM (Logical Volume Manage) LVM(Logical Volume Manager)은 물리 디스크를 논리적인 볼륨 단위로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과거에는 필드에서 RAID 카드를 통해 디스크를 묶어 사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지만, 클라우드 환경이 보편화되면서 실시간 디스크 증설 및 관리를 위해 LVM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1) 구성 요소구성 요소설명PV (Physical Volume)실제 디스크에 LVM 구조를 생성한 것 (/dev/sdb 등)VG (Volume Group)여러 PV를 묶어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LV (Logical Volume)VG 안에서 실제 사용할 논리 디스크 영역. 일반적인 파티션처럼 사용→ 디스크 → PV → VG → LV → 포맷 → ..
[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 TIL Day 15 - 리눅스 프로세스 모니터링, 장치 인식부터 마운트 디스크 관리
·
TIL
1. 프로세스 모니터링1) top실시간으로 프로세스의 상태나 CPU, 메모리, 접속한 사용자의 수 등을 알 수 있는 명령어이다. top # 전체 보기top -u 사용자명 # 특정 사용자 프로세스만 보기top -p PID # 특정 PID 보기top -d 1 # 새로고침 간격 1초로 설정 확인 포인트 Cpu(s): 96.3% id → CPU 유휴 상태(Idle) 비율Tasks, Mem, Swap 영역에서 프로세스 수와 메모리 상태 확인 가능💡 버퍼 vs 캐시 버퍼는 디스크에 쓰기 전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공간 (메타데이터 중심)캐시는 디스크에서 읽은 파일을 다시 사용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하는 공간 (실제 데이터 중심) 2) 메모리 실사용량 계산top의 ..
[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 TIL Day 14 - diff, sort, file, 압축과 아카이빙, 프로세스
·
TIL
1. 유용한 명령어1) diff# diff file1 file2 : 두 파일에 대한 간략한 차이점 출력 형식3c3 /* file1의 3번째 줄이 file2의 3번째 줄로 변경되었다는 표시 ( c = change ) */33333 /* file1의 해당 줄 */--- > 44444 /* file2의 해당 줄 */a (add) : 추가d (delete) : 삭제c (change) : 변경 # diff -c file1 file2: 두 파일에 대한 자세한 차이점 # diff -i file1 file2 : 두 파일을 비교할 때 대소문자 구분 X💡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후 무결성 검사스토리지 마이그레이션이나 데이터 이동 작업이 끝난 후에는, 이동..
[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 TIL Day 13 - EIGRP, OSPF
·
TIL
1. EIGRP (Enhanced I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EIGRP는 Cisco에서 개발한 고급 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로, 기존 RIP의 단점을 보완하고 Link-State 프로토콜의 장점을 일부 흡수한 Advanced Distance Vector 프로토콜이다. 1) 주요 특징빠른 수렴 속도 : 네트워크 변화시 즉시 업데이트부분 업데이트 : 변경된 정보만 선택적으로 전송멀티캐스트 업데이트 : 224.0.0.10 주소 사용경로 선택 기준 : 대역폭, 지연, 신뢰도, 부하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하여 최적 경로를 선택무한 홉 수 제한 : 홉 수 제한이 없어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도 사용 가능DUAL 알고리즘 사용 : 루프 없는 최적의 경로를 빠르게 계산..
[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 TIL Day 12 - RIP, RIPv2
·
TIL
1. RIP (Routing Information Procotol)Distance Vector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라우팅 프로토콜로, 클래스풀 방식이며 소규모 네트워크나 변화가 크지 않은 환경에서 주로 사용된다. 1) Distance Vector 알고리즘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판단할 때 속도가 아닌 라우터 수(hop 수)를 기준으로 함네트워크에 변화가 없어도 30초마다 전체 라우팅 테이블을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파 1-1) 루프 현상 RIP은 주기적인 브로드캐스트로 인해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정보가 업데이트되기 전까지는 해당 경로가 살아있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어 루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법이 사용된다.Hop Count Limit : 최대 홉 카운..
[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 TIL Day 11 - STP, EtherChannel
·
TIL
1. STP (Spanning Tree Protocol) 1) 정의IEEE 802.1d STP로, 이더넷 스위치 네트워크에서 루프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네트워크 내 유일한 루프 없는 트리 구조(Spanning Tree)를 형성하여 브리징 루프, 브로드캐스트 스톰 등을 방지 2) BPDU(Bridge Protocol Data Unit)STP에서 스위치 간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프레임루트 브리지 선출, 경로 비용 계산, 포트 상태 결정 등에 사용됨종류Configuration BPDU : 루트 브리지와 경로 정보를 전달하는 주기적 BPDUTCN (Topology Change Notification) BPDU : 네트워크 토폴로지 변화가 있을 때 이를 알리는 BPDU ..
[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 TIL Day 10 - VLAN, VTP
·
TIL
1. VLAN 모드1) Access 모드한 개의 VLAN만 사용가능한 모드주로 엔드포인트 장비 연결포트에 연결된 장비는 특정 VLAN에만 고정됨 2) Trunk 모드여러 개의 VLAN을 하나의 포트에서 동시에 사용 가능한 모드주로 스위치 간 연결이나 스위치와 라우터 간 연결에 사용 3) Dynamic 모드 자동으로 Access 또는 Trunk로 동작 방식을 협상하는 모드DTP(Dynamic Trunking Protocol)를 통해 포트의 모드를 상대방 포트와 자동 협상하여 결정dynamic desirable로 적극적 협상 모드와 dynamic auto로 수동적 협상 모드가 있음거의 사용하지 않음 2. [실습] VLAN 범위 스위치에서 VLAN 3개 생성하고 해당하는 포트와 연결한다. 여기서 포트는 acc..
[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 TIL Day 9 - 이더넷 LAN 설계 분석
·
TIL
1. 충돌 영역 Collision Domain 같은 전송 매체를 공유하면서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역허브 환경에서 두 장치가 동시에 전송할 때 충돌 발생 -> 재전송 필요스위치 사용시 포트 분리로 충돌 없음 2. 브로드캐스트 영역 Broadcast Domain브로드캐스트 패킷이 도달하는 범위스위치는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모든 포트로 전달 / 라우터는 브로드캐스트 차단 -> 도메인 경계 형성브로드캐스트 트래픽이 많아지면 네트워크에 부하 발생 -> 해결하기 위해 VLAN 도입 3. VLAN을 통한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분산VLAN은 L2에서의 논리적인 분리 기술이라 하나의 스위치 내에서도 여러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생성이 가능각 VLAN은 독립된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처럼 동작 4. 3계층 캠퍼스 네트워크 설계A..
[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 TIL Day 8 - 라우팅, IPv4 주소 체계, TCP/IP, Cisco IOS CLI
·
TIL
1. 라우팅1) 네트워크 계층과 라우팅 논리라우팅 테이블라우터는 패킷을 어디로 보낼지 결정하기 위해 '라우팅 테이블'을 참고한다. 이 테이블은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와 그에 대한 최적 경로(Next hop, 인터페이스 등)를 담고 있다. 양방향 경로 정보대부분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양방향 경로를 보장할 수 있는 정보를 유지한다. 특히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은 이웃 라우터와 정보를 주고받으며 경로를 동적으로 업데이트한다. 캡슐화 방식라우터가 여러 종류의 네트워크 기술을 이어주다보니 출발지와 목적지 기술이 다를 경우 각 인터페이스에 맞게 캡슐화 방식을 자동으로 변경한다. 예시로 라우터의 한쪽 인터페이스는 이더넷 LAN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인터페이스는 시리얼 WAN에 연결되어 있다고 해보자. 이더넷 -..
[에스넷시스템 부트캠프] TIL Day 7 - 네트워크 2
·
TIL
1. 네트워크 기본 개념스위치: MAC 주소 학습을 통해 필요한 포트로만 전송함. 여러 스위치를 연결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으로 인식됨.허브: 모든 포트로 데이터 전송 → 충돌 발생 가능. 과거에 사용되었고, CSMA/CD 프로토콜로 충돌 처리.라우터: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통신을 위해 IP 기반 라우팅 수행. WAN 연결의 핵심.방화벽: 기본적으로 모든 통신 차단 → 허용된 것만 통과. 내부→외부, 외부→내부 방향 구분.2. 네트워크 주소 및 변환공인 IP / 사설 IP: 공인은 인터넷에서 고유, 사설은 내부망 전용.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DNAT: 목적지 IP 변환 (ex. 외부에서 내부 서버 접속)PNAT (Port-based NAT): 여러 장비를..